대학원 일기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분류 본문

AI/인공지능 기초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분류

대학원생(노예) 2021. 12. 30. 03:03

※ 본 포스팅은 <딥러닝 개념과 활용, 김의중 지음>을 읽고 쓰는 내용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사람의 지능을 컴퓨터가 구현한 것이다. 사람의 지능은 지식과 경험을 배우고 적용하여 어떤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즉, 지식과 경험을 배우고 적용하여 어떤 상황에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컴퓨터에 구현된 것 또는 컴퓨터가 지식과 경험을 배우고 적용하여 어떤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방법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여러 대학에서 인공지능 교재로 쓰는 책이다.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의 정보

  논리학, 확률, 연속 수학과 지각, 추론, 학습, 동작, 그리고 초소형 전자기기부터 로봇 행성 탐사 차량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포괄하는 인공지능 분야의 전 면모를 다루고 있다. 그 중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인 지능적 에이전트라는 개념을 깊게 파헤치며, 인공지능의 여러 분야를 현대적 접근방식으로 조합한다.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에서는 인공지능을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정의한다.

  • 인간처럼 생각하는 시스템
  • 인간처럼 행동하는 시스템
  • 이성적으로 생각하는 시스템
  • 이성적으로 행동하는 시스템

인간처럼 (생각|행동)하는 시스템 & 이성적으로 (생각|행동)하는 시스템

  '인간처럼'의 키워드는 현재 인공지능이 지향하는 목표이다. 말 그대로 인공지능이 인간을 따라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공지능이 완벽하게 온전한 인간처럼 수행할 시 로스 함수(loss function)는 0이 되고, 인공지능의 목표는 달성한 것이 된다. 

  '이성적으로'의 키워드는 불명확하다고 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사람 자체가 이성적이지 않다고 판단하여 인간의 관점 이상의 외연적 방법으로 사물을 분석하는 것이라고 한다.

  '생각하는'의 키워드는 인지, 추론 등과 같은 '생각'의 과정이 원칙적으로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연구하기 때문에 논리학과 심리학 분야 연구가 중심이 된다.

  '행동하는'의 키워드는 가장 직관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연구 대상이 관찰 가능한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현재 인공지능 연구개발 지향점은 '인간처럼 행동하는'으로 사람이 하는 행동을 컴퓨터가 얼마나 유사하게 모방하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강인공지능 & 약인공지능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방법과 다른 분류로 대부분의 사람은 인공지능을 강인공지능과 약인공지능 또 번외로 초인공지능으로 분류한다.

약인공지능

  약인공지능(Weak AI)은 현재 연구하고 구현하는 인공지능으로 인공지능 모델 하나가 하나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즉, 사람이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을 컴퓨터의 우수한 능력(기억력, 정확성, 꾸준함 등)을 통해 컴퓨터가 사람 대신 일을 처리해주는 것이다. 그 예로 사진에서 어떠한 물체(Object)를 탐지하거나 추출할 때, 소리를 들어서 판단할 때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퍼뜨리게 한 알파고 역시 약인공지능의 예로 '바둑'이라는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을 모방하고 수많은 훈련을 하여 사람이 이기기 힘든 인공지능이 된 것이다. 현재의 인공지능은 알파고와 같이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실생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강인공지능

  강인공지능(Strong AI)은 인공지능 자체가 사람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영화 '터미네이터'에 나오는 로봇처럼 되는 것이다. 영화에서 약인공지능은 실제로 구현되어서 소재로 잘 사용하지 않지만, 강인공지능 경우에는 아직 구현되지 않아 영화에서 종종 소재로 쓰이고는 한다. 강인공지능은 사람처럼 활동을 하며 사람처럼 생각을 하고 사람처럼 행동하는 것처럼 인간형 인공지능이라고 할 수 있다.

  강인공지능이 나오는 유명한 영화의 예로 터미네이터, 에이리언, A.I, 어벤져스(울트론), 엑스마키나 등 엄청나게 많으니 한 번 찾아보고 관심이 있다면 영화를 보면서 "강인공지능이구나!"하면 된다.

 

초인공지능

초인공지능은 강인공지능이 지능폭발을 일으켜 인공지능 자체가 인간을 뛰어넘어 초월적인 존재가 되는 것이다. 초인공지능에 대한 얘기는 종교적, 정치적으로 큰 문제가 있으므로 이 정도만 하고 넘어가겠다.

 

 

'AI > 인공지능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렬(Matrix)  (0) 2022.01.26
벡터(Vector)  (0) 2022.01.26
Numerical Python - Numpy  (0) 2022.01.25
[DL] Deep Learning, Historical Review  (0) 2022.01.07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0) 2022.01.0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