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일기

단일 화소 처리 기법1 본문

Image processing/이론

단일 화소 처리 기법1

대학원생(노예) 2022. 7. 2. 03:31

단일 화소 처리 기법

  • 영상 대수
    • 산술 연산
    • 논리 연산
  • 그레이 스케일 변경

 

Pixel Point Processing

- 이웃 화소와는 독립적으로 입력 영상의 각 화소 값을 변환한 후, 결과 영상의 동일한 위치에 출력하는 연산

- 영상의 밝기 및 대비 조정

  • 영상 밝기(Image Brightness)
    • 영상의 화소 값에 대한 밝기 정도
  • 영상 대비(Image Contrast)
    • 영상 내의 gray level 분포 및 범위에 대한 측도
    •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and darkest pixel values and how the intermediate values are arranged
  • 주요 처리 방법
    • 영상 대수(Image Algebra)
    • 그레이 스케일 변경(Gray-scale Modification)
    • 히스토그램 변경(Histogram Modification)

 

산술 연산: 단일 영상

- 덧셈 연산

  • 화소 값에 특정한 상수 값을 더해 화소 값을 증가시켜 영상을 밝게 만드는 처리 기술
    • 화소 + α → 영상의 밝기 증가 = 밝아짐

- 뺄셈 연산

  • 화소 값에 특정한 상수 값을 빼 화소 값을 감소시켜 영상을 어둡게 만드는 처리 기술
    • 화소 - α → 영상의 밝기 감소 = 어두워짐

- 곱셈 연산

  • 화소 값에 특정한 상수 값을 곱해, 화소 값에 비례하여 영상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처리 기술
    • 화소 * α → 영상의 밝기 차이 증가 = 뚜렷해짐

- 나눗셈 연산

  • 화소 값에 특정한 상수 값을 나눠, 화소 값에 비례하여 영상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처리 기술
    • 화소 / α → 영상의 밝기 차이 감소 = 희미해짐

논리 연산

- 마스킹 처리, 특징 추출, 형태 분석 등에 사용

  • 마스킹 처리를 위한 마스크는 주로 이진 영상을 사용

- AND 연산

  • 원하는 비트를 선택적으로 0으로 만드는 기능이 있어 마스크(Mask) 연산이라고도 함

- OR 연산

  • 특정 비트를 선택적으로 1로 구성할 수 있어 선택적 세트(Selective-set) 연산이라고도 함

- XOR 연산

  • 입력이 서로 다를 때만 1을 출력하는 연산으로, 두 데이터를 비교하므로 비교(compare) 연산이라고도 함

그레이 영상을 상수 값 128로 XOR 연산 수행

 

- NOT 연산

  • 화소 비트를 색 반전시킴
  • 검정색이 흰색으로, 흰색이 검정색으로

그레이 영상의 색 반전

 

Grayscale Modification

- 영상 밝기와 대비를 조정하기 위해 매핑함수 사용

 

Grayscale Compression

Grayscale Stretching

Graylevel Slicing

Graylevel Thresholding

Graylevel Negation

 

'Image processing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소 그룹 처리  (1) 2023.07.29
히스토그램 변경  (0) 2023.07.29
컬러 모델(Color Model)  (0) 2022.07.02
영상의 디지털화  (0) 2022.06.23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란?  (0) 2022.06.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