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일기

Chapter 01 운영체제의 개요 본문

School/Operation System

Chapter 01 운영체제의 개요

대학원생(노예) 2022. 3. 28. 20:00

운영체제 소개

1-1 일상생활 속의 운영체제

  운영체제

- 일반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의 전원을 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소프트웨어

 

  임베디드 운영체제

- CPU의 성능이 낮고 메모리 크기도 작은 시스템에 내장하도록 만든 운영체제

- 임베디드 운영체제가 있는 기계는 기능을 계속 향상시킬 수 있음(갤럭시 워치, 애플워치, 에어팟, 버즈, 네비게이션...)

 

1-2 운영체제의 필요성

Q . 컴퓨터는 운영체제가 없어도 작동하는가?

A . 가능. - 컴퓨터는 운영체제가 없어도 작동하지만 기능에 제약이 따른다. <- 에니악은 운영체제가 없음.

 

Q . 운영체제가 있는 기계(Programmable)와 없는 기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A . 운영체제가 있는 기계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고,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다.

 

Q . 운영체제는 성능을 향상하는 데에만 필요한가?

A . No.(자원관리) -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성능을 향상할 뿐 아니라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Q . 운영체제는 자원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A .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직접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컴퓨터 자원을 보호한다.

 

Q . 사용자는 숨어있는 자원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가?

A .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자원에 접근한다.

 

1-3 운영체제의 정의

  운영체제의 정의

-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에게 컴퓨터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결과를 돌려주는 소프트웨어

→ 편리성

-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에게 모든 컴퓨터 자원을 숨기고 정해진 방법으로만 컴퓨터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

→ 안정성

 

1-4 운영체제의 역할(운영체제의 목표)

  자원 관리(효율성)

-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응용 프로그램에 나눔 -> 사용자 원할한 작업

- 자원을 요청한 프로그램이 여러 개 -> 적당한 순서로 자원 배분&회수 -> 회수되면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줌

 

  자원 보호(안정성)

- 비정상적인 작업으로부터 컴퓨터 자원을 보호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제공(확장성)

-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제공 -> 사용자가 복잡한 과정없이 다양한 장치 사용

- 다양한 하드웨어를 일관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로 지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편리성)

- 사용자가 운영체제는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지원(GUI)

 

효율성: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을 관리하여 적은 자원으로 많은 작업량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

안정성: 작업을 안정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의 안전 문제와 하드웨어적인 보안 문제 처리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으로 복구하는 결함 포용 기능 수행)

확장성: 다양한 시스템 자원을 컴퓨터에 추가하거나 제거하기 편리한 것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의 종류에 상관없이 꽂으면 바로 실행되는 Plug&Play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편리성: 사용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운영체제의 역사

2-1 운영체제의 역사

  주변 기기의 발전을 중심으로 살펴본 운영체제의 역사

(에니악) → (일괄 작업 시스템)  (대화형 시스템) → (다중프로그래밍, 시분할 시스템) → (분산 시스템) →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P2P 시스템, 그리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2-2 초창기 컴퓨터(1940년대)

  에니악

- 진공관

- 전선을 연결하여 논리회로를 구성하는 '하드와이어링' 방식으로 동작

- 운영체제가 없음

에니악

2-3 일괄 작업 시스템(1950년대)

  천공 카드 시스템

- 천공카드 리더를 입력장치로, 라인 프린터를 출력장치로 사용

-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카드에 구멍을 뚫어 컴퓨터에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구조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가 라인 프린터를 통해 출력

 

  일괄 작업 시스템

- 모든 작업을 한꺼번에 처리하고 프로그램 실행 중간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시스템

- 운영체제 사용(메인메모리가 운영체제의 상주 영역과 사용자의 영역으로 나뉨)

 

2-4 대화형 시스템(1960년대 초반)

  대화형 시스템

- 모니터와 키보드의 등장: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어 입력값에 따라 작업의 흐름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

- 문서 편집기, 게임과 같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됨.

2-5 시분할 시스템(1960년대 후반)

  다중 프로그래밍

- 하나의 CPU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하는 기술

-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가능한 일괄 작업 시스템에 비해 효율성이 뛰어남

- 어떤 프로그램을 수행하다 입출력이 발생하면 해당 입출력이 처리되는 동안 CPU가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방식( CPU 스케쥴링)

- 만약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무한 루프가 발생된다면 스케쥴링도 일어나지 않아 나머지 프로그램도 돌아가지 않음

(즉,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에서는 프로그램 간 간섭이 존재함)

- 시간을 분할하는 방법 때문에 여러 작업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보임

  시분할 시스템

CPU 사용시간을 타임슬라이스(time-slice)로 잘게 쪼개어 작업들에 나누어줌으로써 모든 작업이 동시에 처리되는 것처럼 보임

- 잘게 나뉜 시간 한 조각을 타임 슬라이스 또는 타임 퀀텀이라고 함

- 오늘날의 컴퓨터에는 대부분 시분할 시스템이 사용됨

 

2-6 분산 시스템(1970년대 후반)

  분산 시스템

-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값이 싸고 크기가 작은 컴퓨터를 하나로 묶어서 대형 컴퓨터의 능력에 버금가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됨

- 네트워크 상에 분산되어 있는 여러 컴퓨터로 작업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상호 교환하도록 구성한 시스템

2-7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1990년대~현재)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작업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거기에 응답하여 요청받은 작업을 처리하는 서버이중구조로 나뉨

- 웹 시스템이 보급된 이후 일반인들에게 알려짐

 

2-8 P2P 시스템(2000년대 초반~ 현재)

  P2P 시스템

-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단점인 서버 과부화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시스템

-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와 사용자를 직접 연결

- 메신저나 토렌트로 사용(채팅)

 

2-9 기타 컴퓨팅 환경(2000년대 초반~현재)

  그리드 컴퓨팅

- 필요한 기간만큼만 컴퓨터를 사용하고 사용한 금액만큼만 돈을 지불할 수 컴퓨팅 환경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을 묶어 대용량의 컴퓨터 풀을 구성하고 이를 원격지와 연결하여 대용량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팅 환경

- 그리드가 하드웨어적인 컴퓨팅 환경의 통합이라고 한다면 SaaS(Software as a Service, 사스)는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만을 필요할 때 이용하고, 이용한 가능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개념

- CPU 관리, 저장소 관리, 보안 조항, 데이터 이동, 모니터링과 같은 서비스를 위한 표준 규약 생성에 기여

 

  클라우딩 컴퓨팅

- 언제 어디서나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으로 그리드 컴퓨팅과 SaaS를 합쳐 놓은 형태

- 클라우드 컴퓨팅은 PC, 핸드폰, 스마트 기기 등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며, 데이터 또한 기기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컴퓨팅 환경

- 하드웨어를 포함한 시스템이 구름에 가려진 것처럼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컴퓨팅 환경이라는 의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

- 예를 들어, 전철이나 버스의 도착 예정시간을 표시한다던가, 각종 전자제품을 스마트폰으로 제어 하거나 알림 문자를 받는 서비스가 있음.

- 커넥트 카, 에네지를 제어하는 스마트 그리드, 공공 기물을 관리하는 스마트 시티, 사물인터넷을 응용한 재난 방지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

사물 인터넷

 

운영체제의 구조

3-1 커널과 인터페이스

  커널

-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저장장치 관리와 같은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기능을 모아놓은 것

응용 SW와 하드웨어 간 연결

커널은 하드웨어(CPU, Memory, Devices)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하드웨어에서부터 오는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인터페이스

- 커널에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고 실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

- 그래픽을 사용한 인터페이스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라고 부름

암기

응용 프로그램: 한글, office, 크롬 등

유틸리티: 파일 탐색기, cmd 등

드라이버: 커널의 일부분으로 특정 하드웨어나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

 

3-2 시스템 호출과 디바이스 드라이버

  시스템 호출

- 커널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인터페이스

- 커널은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컴퓨터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자원에 직접 접근하는 것을 차단

->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CPU, RAM, I/O)는 인터페이스로 구분되어 있음

응용 프로그램, 유틸리티              |           커널(인터페이스)                 | 하드웨어

 

  직접 접근

- 두 응용 프로그램이 자기 마음에 드는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려고 함

- 다른 사람의 데이터를 지울 수도 있고, 내 데이터가 다른 사람에 의해 지워질 수 있음

 

  시스템 호출을 통한 접근

- 응용 프로그램이 직접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커널이 제공하는 write( )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해달라고 요청 

- 커널이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저장하는 것을 전적으로 책임지기 때문에 컴퓨터 자원 관리가 수월

 

  시스템 호출 정리

- 시스템 호출은 커널이 제공하는 시스템 자원의 사용과 연관된 함수

- 응용 프로그램이 하드웨어 자원에 접근하거나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려 할 때는 시스템 호출을 사용해야 함

- 운영체제는 커널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스템 호출로 제한하고 다른 방법으로 커널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음으로써 컴퓨터 자원을 보호

- 시스템 호출은 커널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커널 영역에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임

 

  드라이버

- 커널과 하드웨어의 인터페이스 담당하며 디바이스 드라이버라고도 불림

- 마우스와 같이 간단한 제품은 드라이버를 커널이 가지고 있으나, 그래픽카드와 같이 복잡한 하드웨어의 경우 제작자가 드라이버를 제공함

 

3-3 커널의 구성

  커널

프로세스 관리 : 프로세스에 CPU를 배분하고 작업에 필요한 제반 환경을 제공한다.

메모리 관리 : 프로세스에 작업 공간을 배치하고 실제 메모리보다 큰 가상공간을 제공한다.

파일 시스템 관리 :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출력 관리 : 필요한 입력과 출력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스 간 통신 관리 : 공동 작업을 위한 각 프로세스 간 통신 환경을 지원한다.


단일형 구조 커널

- 초창기의 운영체제 구조

- 커널의 핵심 기능을 구현하는 모듈들이 구분 없이 하나로 구성

장점

- 모듈 간의 통신 비용 줄어들어 효율적인 운영 가능

 

단점

- 모든 모듈이 하나로 묶여 있기 때문에 버그나 오류를 처리하기가 어려움

- 운영체제의 여러 기능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호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기능상의 작은 결함이 시스템 전체로 확산될 수 있음

- 다양한 환경의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려움

- 현대의 운영체제는 매우 크고 복잡하기 때문에 완전 단일형 구조의 운영체제를 구현하기가 어려움


  계층형 구조 커널

- 비슷한 기능을 가진 모듈을 묶어서 하나의 계층으로 만들고 계층 간의 통신을 통해 운영체제를 구현하는 방식

- 효율성 증가

- 버그 처리 용이

- 상호 의존성 증가

- 다양하고 복잡한 시스템 구성


  마이크로 구조 커널

-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간 통신 관리 등 가장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

- 커널의 각 모듈은 세분화되어 존재하고 모듈 간의 정보 교환은 프로세스 간 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짐

 

3-4 가상머신

  가상머신

-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

- 가상머신을 설치하면 응용 프로그램이 모두 동일한 환경에서 작동하는 것처럼 보임

- 자바는 유닉스와 윈도우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가상머신을 만들어 배포하는데, 이를 자바 가상머신(Java Virtual Machine, JVM)이라고 함

 

[심화] 운영체제의 종류와 역사

[교재 확인]

 

'School > Operation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6장  (0) 2022.06.08
Chapter 05 프로세스 동기화  (0) 2022.04.16
Chapter 04 CPU 스케줄링  (0) 2022.04.14
Chapter 03 프로세스와 스레드  (0) 2022.04.04
Chapter 02 컴퓨터의 구조와 성능 향상  (0) 2022.03.2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