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LP
- Dehaze
- 인공지능 깃 버전관리
- API
- 정규화
- 코딩테스트
- python
- 자바
- pandas
- 딥러닝
- DCP
- 자바 프로젝트
- 대학원 월급
- 머신러닝
- 활성화 함수
- 영화 api
- 백준
- 자바 영화 api
- 딥러닝 실험 깃 버전관리
- 디자인패턴
- 파이썬 경사하강법
- 인공지능
- 디자인 패턴
- 통계학
- 로스트아크
- 의료 ai 대학원 월급
- C# 프로젝트
- 경사하강법
- 파이썬
- 대학원 급여
Archives
- Today
- Total
대학원 일기
리눅스 에디터 본문
리눅스 에디터

파일 속성
리눅스에서 ls 명령어를 사용하여 정보를 확인하면 파일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파일 속성에는 소유권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소유권 권한 정보를 변경하면, 사용자 및 그룹에 대한 권한 정보만 변경되며, 나머지 파일 속성 정보는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 된다. <표 8-1>의 2번은 리눅스 사용자들이 디렉토리 및 파일에 대한 읽기/쓰기/접근 권한이 설정되어있다.

파일 권한 설정
파일 접근 권한을 할때 숫자가 아닌 문자(기호)로 설정하여 접근 권한을 추가할 수 있다.

문자열로 접근을 한다면 숫자로 접근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 권한
리눅스 계정 정보
리눅스는 유저가 로그인한경우 프롬프트 모양이 다르다 일반 사용자 계정은 $모양으로 표시되며, #은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한 상태의 프롬프트 모양이다. 리눅스에서 유저를 변경하려면 su명령어를 사용하면된다.

관리자 권한 요청
사용자 계정에 접속되었다면 root(관리자) 파일을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임시로 관리자 권한을 얻어 명령어를 수행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sudo가 있다.
사용자 계정 정보
사용자를 adduser 명령어를 통해 추가한다면 /etc/passwd 파일에 게정 정보가 추가된다. 파일에는 계정명, 권한, 홈위치, shell 정보등등 여러가 정보가 저장된다.

- 로그인ID
- 사용자의 계정 이름을 말한다. 로그인 아이디는 최대 32자까지 지정할 수 있다.
- 암호저장항목: x로 표시되는 것은 초기 시절 사용자 암호를 저장하기 위한 항목이다. 이항목은 이전 프로그램과 호환성을 위해 기본 항목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다.
- UID :리눅스 시스템의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ID값이다. 일반 사용자는 1000부터 할당되고 사용자에 대한관리 업무를 위해 내부적으로 예약되어 있어 변경을 지향하고 있다. (만약 리눅스 로그인 아이디가 다르더라도 UID가 같다면 똑같은 사용자로 인식한다. )
- GID : 사용자가 속해있는 그룹아이디를 나타낸다.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모든 사용자는 무조건 하나의상의 그룹에 속해있어야 하며, 사용자를 생성할때 GID를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로그인 아이디가 그룹으로 지정된다.
- 설명: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설명을 기록하는 항목이다.
- 홈디렉토리: 이항목은 홈디렉토리의 경로를 나타내며 절대 경로 형식으로 저장된다.
- 로그인쉘: 사용자가 로그인할때 사용하는 Shell를 지정하는 곳이다.
'School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스크 관리 (0) | 2023.10.16 |
---|---|
리눅스: 소프트웨어 관리 (0) | 2023.10.16 |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1) | 2023.10.16 |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3.10.16 |
리눅스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