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자바 프로젝트
- C# 프로젝트
- 딥러닝
- 자바 영화 api
- 디자인패턴
- 백준
- python
- 의료 ai 대학원 월급
- 대학원 급여
- 파이썬 경사하강법
- pandas
- 경사하강법
- MLP
- 대학원 월급
- API
- 자바
- Dehaze
- 머신러닝
- 코딩테스트
- 활성화 함수
- 디자인 패턴
- 로스트아크
- 인공지능
- DCP
- 통계학
- 파이썬
- 영화 api
- 정규화
- 인공지능 깃 버전관리
- 딥러닝 실험 깃 버전관리
Archives
- Today
- Total
대학원 일기
알고리즘이란 본문
알고리즘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를 체계적으로 명시한 것을 의미한다.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 명확하게 정의
- 순서가 있는 유한 개의 규칙으로 이루어진 작업
알고리즘의 조건
- 입력: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료가 0개 이상 존재한다.
- 출력: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결과를 내어야 한다. (모든 입력에서 하나의 출력만 나오면 안됨)
- 명확성: 수행 과정은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은 명령어로 구성되어야 한다.
- 유한성(종결성): 유한 개의 명령어를 수행한 후(유한 시간 내) 종료되어야 한다.
- 효율성: 모든 과정은 명백하게 실행 가능(검증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알고리즘 연구 분야
- 고안: 완벽한 자동화를 통한 알고리즘의 개발은 불가능하므로 이미 증명된 유용한 알고리즘들을 습득함으로써 보다 유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의미가 있다.
- 검증: 고안된 알고리즘이 합당한 입력값에 대하여 올바른 결과를 계산해내는지를 밝히는 절차가 필요하다. 알고리즘 검증은 고안된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 언어와 독립적으로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 분석: 고안된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 시간과 필요로 하는 기억 장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 테스트: 디버깅, 성능 분석
좋은 알고리즘의 분석 기준
- 정확성: 적당한 입력에 대해 유한 시간 내 올바른 답을 산출하는가를 판단한다.
- 작업량: 전체 알고리즘에서 수행되는 가장 중요한 연산들만으로 작업량을 측정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중요 연산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중요 연산들의 합으로 간주하거나 중요 연산들에 가중치를 두어 계산한다.
- 기억 장소 사용량: 수행에 필요한 저장 공간
- 최적성: 어떤 알고리즘보다 더 적은 연산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 있는지 찾아 최적의 기법을 사용한다.
- 복잡도: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
'Computer programming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렬 알고리즘 - 병합 정렬(Merge Sort) (0) | 2022.07.13 |
---|---|
정렬 알고리즘 - 퀵 정렬(Quick Sort) (0) | 2022.07.13 |
정렬 알고리즘 - 셸 정렬(Shell Sort) (0) | 2022.07.13 |
정렬 알고리즘 - 단순 선택, 단순 삽입 (0) | 2022.07.13 |
정렬 알고리즘 - 버블 정렬(Bubble sort) (0) | 2022.07.13 |
Comments